JavaScript 썸네일형 리스트형 [JavaScript] reduce() 함수 간단한 사용 예 const num = [10, 20, 30, 40, 50]; const value = num.reduce((a, b) => { return a + b; }); console.log(value); // 150 상세 설명 및 예시 reduce 함수는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함수를 실행하고 하나의 결과값을 반환합니다. arr.reduce(callback[, initialValue]) callback은 총 네 가지 인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의 필수 옵션과 두 가지의 선택 옵션이 존재합니다. 인수 이름 설명 필수 accumulator callback의 반환값을 저장 initalValue를 설정했을 경우 최초 호출 시 intalValue 값을 제공 initalValue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.. 더보기 [JavaScript] setInterval, clearInterval 사용법 setInterval 함수는 호출 주기에 따라 콜백 함수를 동작시키며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. setInterval(콜백 함수, 호출 주기) clearInterval 함수를 이용하면 setInterval 함수를 멈출 수 있습니다. const period = 1000; let count = 0; console.log('program started...'); const id = setInterval(() => { if(count >= 3) { clearInterval(id); console.log('program finished...'); } else { console.log(++count); } }, period); // 1초마다 출력 // === 실행 결과 === // program started... 더보기 yield 사용법 - 생성기(generator) 그리고 반복기와 반복기 제공자 yield란 yield는 마치 return 처럼 동작하며 정해진 구간을 순서대로 실행하며 반드시 'function*' 을 사용한 함수에서 사용합니다. 생성기 'function*' 로 만든 함수를 생성기(generator)라고 부릅니다. 주의할 점은 'function*'은 하나의 키워드이기때문에 화살표 함수[()=>{}]를 만들 수 없습니다. function* generator() { console.log('generator started...'); let value = 1; while (value < 4) { yield value++; } console.log('generator finished...'); } // case 1 for (let value of generator()) { console.lo.. 더보기 모달창에서 execCommand('copy') 실행 안 될 때 var text = document.getElementById('input-copy'); text.select(); text.focus(); document.execCommand('copy'); 더보기 모달창에서 execCommand('copy') 실행 안 될 때 var text = document.getElementById('input-copy'); text.select(); text.focus(); document.execCommand('copy'); 더보기 JavaScript - map() 함수의 사용 map() 은 배열의 각각의 요소에 대하여 주어진 함수를 적용시켜 반환한다. const array = [1, 2, 3, 4, 5]; const array1 = array.map(x => x*2) console.log(array); // [1, 2, 3, 4, 5] console.log(array1); // [2, 4, 6, 8, 10] 더보기 JavaScript - 단축 평가 논리 계산법 단축 평가 논리 계산법은 선행 인자의 값이 유효(true)할 때 후행 인자의 값을 출력하고 선행 인자 값이 유효하지 않을 때(false) 선행 인자를 출력한다. var a = 'Hello'; var b = undefined; console.log(a && 'World') // World console.log(b && 'World') // undefined console.log( true && 'Hello World' ); // Hello World console.log( false && 'Hello World' ); // false console.log( 1 && 'Hello World' ); // 1 console.log( 0 && 'Hello World' ); // 0 console.log( null.. 더보기 [JavaScript] use strict use strict 란? 'use strict'는 엄격한 모드입니다.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면 일반적으로 에러를 캐치하지 않습니다. text = 'hello 하지만,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면 에러를 캐치합니다. 'use strict'; text = 'hello'; 즉, 기존에 무시하던 에러들을 캐치하고 기존 sloppy mode보다 더 빠르게 동작합니다. 'sloppy mode'는 텍스트 그대로 느슨한 모드이며 일반적으로 'javascript'에서 'sloppy mode'를 사용합니다. sloppy mode와 공존하여 사용하기 function hello() { //함수에 strict mode 적용 'use strict'; console.log('hello'); } function world() { //slo.. 더보기 이전 1 2 다음